목적
- 육질개량을 통한 브랜드경영체 및 한우 개량농가의 경쟁력제고
- 브랜드 육성에 필요한 우수밑소를 선발하여 우량송아지 생산
- 계획교배를 통한 우군능력의 상향평준화로 우수암소집단 조성 유도
사업내용
- 초음파 분석내역을 브랜드 및 농가, 시·군에 제공
- 유전능력평가를 하여 암소의 선발·도태자료로 활용
- 암소의 초음파측정개체의 유전능력평가로 개체의 유전능력을 추정하여 우수한 개체선발
추친현황
본 사업은 2001년부터 2009년 12월까지 전국 한우개량농가 및 한우농가에서 사육중인 번식우를 대상으로 추진하였으며 현재까지 촬영한 누적두수는 41,462두임
지역별 측정두수(2001~2009) (단위 : 두)
지역 |
두수 |
계 |
41,462 |
경기·인천(19개지역) |
26,570 |
강원도(7개지역) |
975 |
충청북도(9개지역) |
8,056 |
충청남도(10개지역) |
1,640 |
전라북도(3개지역) |
774 |
전라남도(13개지역) |
1,829 |
경상북도(10개지역) |
873 |
경상남도(8개지역) |
745 |
측정형질
- 흉위(Girth)
- 영양도(Body Condition Score)
- 배최장근단면적(Eye Muscle Area)
- 등지방두께(Back Fat)
- 근내지방도(Marbling Score)
측정방법
초음파 측정은 등급판정부위인 왼쪽 반도체의 마지막 등뼈(흉추)와 제1허리뼈(요추)사이를 촬영하며 촬영기기은 06년도까지 Medison_SV900기종을 운용하였으며 07년부터 Medison_Pico기종을 도입하여 측정하고 있다. 흉위는 흉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, 영양도는 영양도 판정요령에 의거 배골, 늑골, 기갑, 요각, 둔부, 미근부를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서 판정하게 되며 총 9단계로 채점하였고, 배최장근단면적과 등지방두께는 면적측정 프로그램(Image-pro Express)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. 근내지방도는 초음파자료와 등급판정자료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27단계로 나누어 판독하였다.
추친현황
각 형질별 평균 및 표준편차
형질 |
평균 및 표준편차 |
최소 |
최대 |
흉위(㎝) |
178.43 ± 10.78 |
145 |
230 |
영양도(점) |
4.40 ± 1.22 |
1 |
9 |
배최장근단면적(㎠) |
50.78 ± 11.01 |
25.55 |
110.44 |
등지방두께(㎜) |
2.75 ± 2.20 |
0.50 |
24.80 |
근내지방도(점) |
2.66 ± 2.51 |
1 |
22 |
연령별 흉위 측정치 (단위 : ㎝)
연령이 증가할수록 흉위가 커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5세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다가 6세이후로 정점을이루며 유지가 된다.
연령별 영양도 측정치 (단위 : 점)
연령이 증가할수록 영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.
연령별 배최장근단면적 측정치 (단위 : ㎠)
연령이 증가할수록 배최장근단면적이 가파르게 증가하다가 6세이후로 정점을이루며 유지가 된다.
연령별 등지방두께 측정치 (단위 : ㎜)
연령이 증가할수록 등지방두께가 증가하는 성향을 보이나 다른형질과 달리 3~6세에 급격히 증가하며 6세이후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.
연령별 근내지방도 측정치 (단위 : 점)
연령이 증가할수록 근내지방도가 증가하다가 7세이후로 정점을이루며 유지가 된다.
측정형질별 상관분석
근내지방도와 배최장근단면적과의 상관관계(0.703)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흉위가 늘어날수록 영양도와 배최장근단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.
형질 |
흉위 |
영양도 |
배최장근단면적 |
등지방두께 |
근내지방도 |
연령 |
흉위(㎝) |
1 |
- |
- |
- |
- |
- |
영양도(점) |
0.698 |
1 |
- |
- |
- |
- |
배최장근단면적(㎠) |
0.679 |
0.612 |
1 |
- |
- |
- |
등지방두께(㎜) |
0.582 |
0.551 |
0.686 |
1 |
- |
- |
근내지방도(점) |
0.542 |
0.479 |
0.703 |
0.556 |
1 |
- |
연령 |
0.323 |
0.145 |
0.168 |
0.179 |
0.141 |
1 |
농가발송양식
"초음파분석 결과 및 추천씨수소"(견본)
개체별 초음파내역
육종가 분석치
초음파 결과치 보는 방법